JAVA/변수와 타입

실수타입

yayeun 2017. 1. 21. 17:45

실수 타입

: 소수점이 있는 실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타입

  - 실수는 정수와 달리 부동소수점(floating-point) 방식으로 저장

: 자바는 실수 리터럴의 기본타입을 double로 간주한다.


 float : 부호(1 bit) + 지수(8bit) + 가수(23 bit) = 32bit = 4byte

 double : 부호(1 bit) + 지수 (11 bit) + 가수 (52 bit) = 64 bit = 8 byte

- float 보다 double이 더 정밀한 값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계산에서는 double 타입을 사용한다.

- 실수 리터럴을 float 타입 변수에 저장하려면 리터럴 뒤에 소문자 'f' 나 대문자 'F'를 붙여야 한다.


1
2
3
4
double var1 = 3.14;
float var2 = 3.14;  // 컴파일 에러 (Type mismatch: cannot convert from double to float)
float var3 = 3.14F;
 
cs

- 만약 10의 지수를 나타내는 E 또는 e 를 포함하고 있으면 정수타입이 아니라 실수타입 변수에 저장해야한다.

'JAVA > 변수와 타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타입 변환  (0) 2017.01.21
논리 타입  (0) 2017.01.21
정수타입  (0) 2017.01.21
데이터 타입  (0) 2017.01.21
변수2  (0) 2017.01.21